워킹홀리데이보다 빠른 루트, 용접기술로 가는 호주 > 용접사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용접사 이야기

about_com.gif
설명회이미지 
매일 360일 오후 1시, 수원 본점 무료 설명회
기숙사, 주차 편의기능지원
20~50대 고소득 국내외 취업교육
1599-0508 전화상담 문의

워킹홀리데이보다 빠른 루트, 용접기술로 가는 호주

profile_image
최고관리자
2025-11-11 13:36 21 0

본문

3ae6841d5e9bd97173ca04cb5c13b88b_1762835798_3842.jpg
 

워킹홀리데이보다 빠른 루트, 용접기술로 가는 호주




1. 워킹홀리데이, 정말 ‘지름길’일까?


많은 20~30대가 호주로 가기 위해 **워킹홀리데이 비자(Working Holiday)**를 선택한다.
처음엔 좋아 보인다. 여행도 하고, 일도 하고, 외국에서 새로운 경험까지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대부분의 워홀러가 농장·식당·청소·단기노동으로 일하며
시간당 임금은 25~30호주달러 수준에 머문다.
게다가 비자가 1년짜리라, 영주권이나 안정적인 커리어로 이어지기 어렵다.


결국 돌아올 때 남는 건, 잠깐의 추억과 조금의 저축뿐이다.




2. 반면, ‘기술이민’은 커리어로 이어진다


워킹홀리데이가 단기 체류라면,
**기술이민(Technical Migration)**은 호주 내 장기 정착 루트다.

그 중심에는 항상 **용접사(Welder)**가 있다.

호주는 지금 **숙련 기술자 부족 국가(Skill Shortage Nation)**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배관용접, TIG, MIG, 구조용접 분야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래서 호주는 매년


? 용접사를 포함한 기술이민 직군에 높은 점수제 우대
? 영주권(Permanent Residency) 발급 시 빠른 처리
? 고용 스폰서비자(Subclass 482, 186) 우선 심사
를 적용하고 있다.




3. 워홀과 기술이민의 차이, 숫자로 보면 명확하다


구분워킹홀리데이용접 기술이민
체류 기간1년 (연장 최대 3년)영주권 가능 (무기한 체류)
평균 시급25~30 AUD40~55 AUD
주당 근무 시간20~30시간40시간 이상
연봉약 4~5만 달러7만~10만 달러
직업 안정성단기 아르바이트 중심정규직 / 스폰서직
커리어 발전제한적숙련기술자 → 감독관 / 강사 진로 가능


 



4. 실제 사례 – 워홀 대신 기술을 택한 27살 김모 씨


“호주 농장에서 일하다 보니,
내가 ‘노동자’로 남는다는 게 현실이더라고요.
그때부터 ‘기술이 있어야 진짜 호주에서 살아남는다’는 걸 깨달았죠.”

김 씨는 귀국 후 로이드배관용접학원에서 6개월간 훈련을 받고,
용접기능사 + 6G 자격증을 취득했다.
1년 뒤 그는 호주 기술이민 비자를 받고,
시드니 근교 플랜트 현장에서 연봉 8만 달러를 받고 일하고 있다.


“워홀은 경험이지만, 기술은 인생을 바꿔요.”




여행보다 확실한 길, ‘기술로 가는 호주’


워킹홀리데이는 ‘잠깐 다녀오는 길’이고,
기술이민은 ‘진짜 정착하는 길’이다.


지금 호주는
용접, 배관, 전기, 설비 등 기술직 부족으로 문을 열고 있다.

6개월만 투자해 기술을 배우면


영주권
고소득
해외 커리어


모두 가능한 현실적인 루트가 열린다.


“워홀보다 빠른 루트,
정착으로 가는 유일한 지름길은 기술이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전화상담
365일 무료설명회
게시판 전체검색